물건을 외국으로 보낼 때 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배에 싣고, 내리는 행동에 (선적, 하역)에 일정한 규칙을 표현한 용어를 익혀봅시다.
잠깐! 여기서 '하역'을 내리는 행위로만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역은 배에 선적하는 것도 포함합니다.
또 용어를 이해할 때, 기준이 '선사'라는 점도 명심하세요.
Berth Term
화물 선적 시 하역과 도착항에서 하역 비용은 모두 선사가 부담하고 운임에 포함되는 조건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선사가 다 내는 조건 입니다. '선사' 기준, 제일 부담이 많은 조건이죠.
FO(Free Out)
화물 선적 시 하역은 선주가 부담하고, 도착항에서 하역은 하주가 부담하는 운임조건 입니다.
내릴 때 (Out 할 때) '선사'는 공짜이고(Free), 하주가 부담함.
FI(Free In)
화물 선적 시 하역은 하주가 부담하고 도착항에서 하역은 선주가 부담하는 운임조건 입니다.
실을 때 (In 할 때) '선사'는 공짜이고(Free), 하주가 부담함.
FIO(Free In and Out)
화물 선적 시 하역 비용과 도착항에서 하역 시 비용을 하주가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석탄이나 철광석 등 같은 벌크화물에서 자주 이용됩니다.
실을 때(In)와 내릴 때(out) 모두 '선사'는 공짜이고(Free), 모두 하주가 부담하죠. '선사' 기준, 제일 부담이 적은 조건입니다.
저는 용어 공부할 때, 하주 입장으로 이해하려 해서 햇갈렸었어요.
선주 기준임을 확실히 하니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그 외 용어들도 알아볼까요?
Free Time
수입화물을 CY나 CFS로부터 인도할 때까지 보관료 지불이 면제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Terminal Receiving System (TRS)
하주가 선주가 지정한 창고에 화물을 입고시키면 그 후의 책임과 비용을 선주가 부담하는 제도로, 이러한 서비스에 대하여 징수하는 비용을 TRS Charge라고 한다.
Co-Load
화물을 혼재해서 컨테이너 1대 이상으로 모으기 위해 2개사 또는 그 이상의 업자가 협력해서 화물을 집하하는 것
Ballast
선박의 경사나 부력을 조정하기 위해 본선에 같이 선적되는 물이나 모래를 말합니다.
편의치 적선
선적의 수입에 관련되는 세금이 극단으로 싸기 때문에 선주가 선적을 파나마, 라이베리아 등에 등록한 선박을 말합니다.
선적, 하역에 관한 전문용어를 알아보았는데요. 무역 공부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위 내용은 책 <무역실무 정석 / 권영구 지음>에서 인용 후 내용을 덧붙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씩 배우는 무역 실무 용어 (책 무역실무 정석) (ㄴ~ㅁ) (0) | 2020.09.18 |
---|---|
원산지 관리사 궁금하시다구요? (접수, 시험일정, 난이도, 독학, 인강, 우대, 전망) (0) | 2020.09.16 |
보세사 궁금하시다구요? (시험일정, 합격률, 연봉, 취업, 기출문제) (0) | 2020.09.11 |
이 시국에 취업박람회가..? (2020물류채용박람회) (0) | 2020.09.11 |
무역 관련 자격시험에는 어떤게 있을까 (0) | 2020.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