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하나씩 배우는 무역 실무 용어 (책 무역실무 정석) (ㄴ~ㅁ)

by 흰둥이언니 2020. 9. 18.

네팅(Netting)

무역거래에서 대금결제방법 중의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거래자 사이에 받을 대금과 지불할 대금을 장부상에서 상쇄하고 실제 거래금액을 소액으로 하는 방법이다. 환리스트 관리 기법의 하나이기도 하다.

농림축산물에 대한 특별긴급관세

농림축산물의 수입 증가 또는 수입가격 하락으로 인한 국내산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하느 특별긴급관세(Special Safeguard)

단독해손 (Particular Average)

개개의 피보험자가 단독으로 부담하는 손해로서 공동해손이 아닌 손해를 말한다.

대위권(Right of Subrogation)

보험자가 피보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한 경우에 사고와 관련하여 남아 있을 피보험목적물에 대한 일체의 권리와 제3자에 대한 구상권 등을 보험자가 당연히 취득하는 일체의 권리행위

대응구매(Counter Purchase)

수출을 하는 대가로 상대방의 상품을 구매하는 것. 수출과 수입이 연계되므로 연계무역의 일종으로 분류되며, 수출입은 각각 별도의 계약서에 의하여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대체료(in lieu of exchange commission)

일반적으로 네고 시 매입은행은 외국화폐를 수출상으로부터 사들이고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원화를 지급하게 되며 반대로 수입대금 결제시에는 개설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를 수입상에게 원화를 받고 파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만일 수출상이 외화계정을 보유하고 있어서 네고 시 수출대전은 동 계정에 외화로 결제금액을 출금한다면 은행은 장부정리의 수고만 하게 되고 환가료 및 전신환매입률, 매도율을 적용할 여지가 없게 된다. 대체료란 바로 이 경우 은행이 수고비 명목으로 받는 수수료를 의미하며 이 요율은 각 은행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덤핑방지관세(Anti-dumping Duties)

탄력관세의 하나로, 외국으로부터 특정 상품이 정상보다 낮은 가격에 수입되어 국내 관련 산업에 타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출국내의 정상가격과 덤핑가격의 차액 범위 내에서 부과하는 할증관세를 말한다.

리딩과 래깅(Leading & Lagging)

환리스크 관리기법의 하나. 외화 자감의 결제 시기를 의도적으로 앞당기거나 (리딩) 또는 지연시킴으로써 (래깅)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을 극소화하거나 환차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법

매칭(Matching)

외화자금의 흐름. 즉 자금의 유입과 유출을 통화별, 만기별로 일치시킴으로써(matching) 자금흐름의 불일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차손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환 리스크 관리기법이다.

무역장벽(Trade Barriers)

무역장벽은 국가 간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이동을 방해하는 장벽을 가리키는 말. 무역장벽은 관세장벽과 비관세장벽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관세장벽은 관세를 높게 매겨서 수입품의 가격을 높이는 방법을 가리킨다. 비관세장벽은 관세를 제외한 수량 제한, 수입절차상의 제한, 기술장벽 등의 모든 무역장벽을 가리키는 말이다.

*위 내용은 책 <무역실무 정석>에서 인용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