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용어3 하나씩 배우는 무역 실무 용어 (책 무역실무 정석) (ㄴ~ㅁ) 네팅(Netting) 무역거래에서 대금결제방법 중의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거래자 사이에 받을 대금과 지불할 대금을 장부상에서 상쇄하고 실제 거래금액을 소액으로 하는 방법이다. 환리스트 관리 기법의 하나이기도 하다. 농림축산물에 대한 특별긴급관세 농림축산물의 수입 증가 또는 수입가격 하락으로 인한 국내산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하느 특별긴급관세(Special Safeguard) 단독해손 (Particular Average) 개개의 피보험자가 단독으로 부담하는 손해로서 공동해손이 아닌 손해를 말한다. 대위권(Right of Subrogation) 보험자가 피보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한 경우에 사고와 관련하여 남아 있을 피보험목적물에 대한 일체의 권리와 제3자에 대한 구상권 등을 보험자가 당연히 취득하.. 2020. 9. 18. 하나씩 배우는 무역 실무 용어 (책 무역실무 정석) (ㄱ) 가격조건(Terms of Price) 무역계약의 기본조건 중의 하나. 물품의 단가를 어떠한 요소 비용을 포함해서 책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가격 구성 요소 중에서 여러가지 비용을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중에 누가 부담하느냐를 나타내는 거래조건. 인코텀즈 조건 중 하나를 반드시 표시해야 함. 개별예정보험(Provisional Insurance) 개별의 거래마다 계약을 하고 개개의 선적을 커버하는 예정보험(계약) 개설의뢰인(Applicant) 신용장 개설(발행)의뢰인, 수입자. 거래제의서(신)(Circular Letter) 수출자가 특정상품에 대해 수입자에게 거래 관계를 제의하는 것. Business proposal이라고도 한다. 거주자(Resident) 외국환거래법상의 적용범위를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개.. 2020. 9. 16. [무역] 의외로 헷갈리는 선적, 하역에 관한 전문용어 물건을 외국으로 보낼 때 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배에 싣고, 내리는 행동에 (선적, 하역)에 일정한 규칙을 표현한 용어를 익혀봅시다. 잠깐! 여기서 '하역'을 내리는 행위로만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역은 배에 선적하는 것도 포함합니다. 또 용어를 이해할 때, 기준이 '선사'라는 점도 명심하세요. Berth Term 화물 선적 시 하역과 도착항에서 하역 비용은 모두 선사가 부담하고 운임에 포함되는 조건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선사가 다 내는 조건 입니다. '선사' 기준, 제일 부담이 많은 조건이죠. FO(Free Out) 화물 선적 시 하역은 선주가 부담하고, 도착항에서 하역은 하주가 부담하는 운임조건 입니다. 내릴 때 (Out 할 때) '선사'는 공짜이고(Free), 하주가 부담함. FI.. 2020. 9. 14. 이전 1 다음